분류 전체보기 (103)

 

 

□ HTML이란?

 

- Hypertext Markup Language

- HTML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마크업(Markup) 언어

더보기

마크업 언어란?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

- 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 기술

 

 

 

 

□ Visual Studio Code로 작성하기

 

- 새 파일 -> 언어선택 -> html -> 저장시 이름.html 형식으로 저장

- VSC에서 코드작성할 때 단락 자동 정렬해주는 extension

확장 탭에서 beauty 검색 -> 설치

정렬 원하는 코드 드래그 -> command+shift+b (Win: Ctrl+shift+b)

 

 

 

 

□ Element의 구조

 

  1. Opening tag(여는 태그): 요소 이름과 꺽쇠(<>)로 구성, 요소 시작
  2. Closing tag(닫는 태그): 여는 태그와 같은 모양 + 요소 이름 앞에 슬래시(/), 요소의 끝에 위치
  3. Contents(내용): 요소의 내용
  4. Element(요소): 여는 태그, 닫는 태그, 내용을 통틀여서 요소라고 함
  5. Attribute(속성): 요소에 추가적인 내용을 담고 싶을 때 사용, 속성 이름(Attribute name)과 속성 값(Attribute value)로 구성

 

 

Element의 구조

 

 

 

 

□ 요소의 중첩

 

- 요소안에 내포되게 중첩할 수 있음

- 어떤 요소의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사이에 새로운 요소 넣을 수 있음

- 안에 내포된 요소가 닫힌 후에 포함하고 있는 요소가 닫혀야 함

<head>
	<title>Test page</title>
</head>

 

 

 

 

□ 블럭 레벨 요소vs 인라인 요소(Inline level elements)

 

1. 블럭 레벨 요소(Block-level elements)
- 웹페이지에 블럭을 넣는 요소

- 블럭 레벨 요소 앞뒤에 새로운 Line 만들어서 블럭 레벨 요소 이전과 이후 요소 사이의 줄을 바꿈

- 페이지의 단락(Paragraph), 목록(list), 네비게이션 메뉴(Navigation Menu, 꼬리말(Footer) 등을 표현

- 인라인 요소에 중첩될 수 없음

- 블럭 레벨 요소는 다른 블럭 레벨 요소에 중첩될 수 있음

ex)<p> : 문단요소

 

 

2. 인라인 요소(Inline elements)

- 항상 블록 레벨 요소에 포함되어 있음

- 새로운 Line을 만들지 않음

- 인라인 요소에 블럭 레벨 요소를 넣을 수는 없음

ex) <a> : 하이퍼링크 정의

      <em> : 텍스트 이테릭체

      <strong> : 텍스트 볼드체

 

 

- 인라인과 블럭 레벨 요소의 특징이 섞인 Inline-Block 레벨 요소도 있음(

 

 

 

 

□ 빈 요소(Empty elements)

 

닫는 태그가 필요없이 단일 태그(Single tag)로 사용

닫는 태그를 사용해도 되지만 비효율적!

Ex) <img> : 이미지 삽입, <br> : 줄바꿈 요소, <hr> : 가로줄, <input> : 사용자에게서 데이터 받을 수 있는 요소, <link> : 외부 리소스의 관계 명시, <meta> : 해당 문서에 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 정의

 

 

 

 

 속성(Attribute)의 규칙

 

  1. 요소 이름 다음에 오는 속성과 요소 사이엔 공백, 여러개의 속성 작성 할 땐 속성 사이에 공백
  2. 속성 이름 다음에 등호(=) 작성
  3. 속성 값은 따옴표(“”또는 ‘’)로 감싸야 함 (생략가능하지만 오류 발생할 수 있음)
<input type="text" placeholder="type here">

 

 

 

 요소에 속성 추가하기

 

<a href="https://naver.com" title="네이버" target="_blank">naver</a>

<a> : anchor 의미, 닻이 배를 항구로 연결하듯 텍스트를 감싸서 하이퍼링크를 만듦

href: 연결하고자 하는 웹 주소 지정

title: 링크에 대한 정보 추가, 마우스 옮겼을 때 나타남

target: 링크가 어떻게 열릴 것인지 지정, target=“_bland”는 새 탭에서 보여줌

 

 

 

 

 참과 거짓 속성(Boolean attributes)

 

값이 없는 속성

그 속성의 이름과 동일한 하나의 값만을 가짐

ex) disabled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회색으로 표시)

<input type="text" disabled>

 

 

 

 

 주석

 

<!- 주석내용 ->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음

메모, 코딩 설명

 

 

 

 

 

  자주 쓰는 요소들

 

<!DOCTYPE html>: 초창기부터 쓰던 문법, 현재는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포함되어야하는 역사적 유물

<html></html> : html 요소, 전체 페이지의 콘텐츠 포함, 기본요소

<head></head> : 페이지에 보여지지 않지만 검색 결과에 노출될 키워드, 설명, CSS 스타일 등 페이지의 모든 내용 담음

<meta charset="UTF-8"> : 문서의 문자 인코딩을 UTF-8로 지정

 UTF-8이란 전세계 대부분의 문자를 포함한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 가장 많이 사용됨

<title></title> : 브라우저 탭에 표시되는 이름

<body></body> : 텍스트, 이미지, 링크, 비디오, 오디오 등 페이지에 표시되는 모든 콘텐츠 포함

<ul></ul> : Unordered list 순서없는 리스트

<ol></ol> : Ordered list 순서있는 리스트

<ls></ls> : list 목록

<p></p> : paragraph 문단

<div></div> : division 앞뒤로 줄 바꿈됨

<span></span> : 인라인, 줄 바꿈 x, 문단내에서 일부에만 속성 적용할 때 주로 사용

<a></a> : 하이퍼링크

<img src="경로"> : 이미지 삽입

<input type="text" placeholder="입력 전 메세지"> :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박스, type의 기본값은 text

<button>버튼 안의 텍스트</button> : 클릭할 수 있는 버튼 박스

<link rel="stylesheet" href="경로"> : 외부 리소스 연결 요소, 주로 head에 작성, CSS 파일이나 웹 폰트 연결할 때 사용

 

 

 

 

 참고 링크

 

W3 School : https://www.w3schools.com/html/default.asp

 

HTML Tutorial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HTML

 

 

 

튜토리얼: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HTML/Introduction_to_HTML/Getting_started

 

HTML 시작하기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

HTML 기본 사항을 둘러 보셨기를 바랍니다.

developer.mozilla.org

 

<컴퓨터의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System Software

응용소프트웨어 실행 환경

하드웨어와 직접 소통, 동작 관리

커널과 OS를 포함

 

Application Software

응용소프트웨어

 

 

-하드웨어

 

CPU(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제어장치: 데이터의 흐름 제어, 컴퓨터의 자원 관리

연산장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라 계산

레지스터: 작고 빠른 기억장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보관

 

보조기억장치

넓은 데이터 저장 공간

느린 속도

컴퓨터 내의 모든 메모리가 저장

ex)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CPU와 바로 통신하기에는 처리속도가 너무 느림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보다 훨씬 적은 공간

빠른 속도

CPU와 직접 통신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주기억장치보다 빠르지만 CPU보단 느린 속도

자주쓰는 데이터를 저장

 

입력장치

마우스, 키보드

 

출력장치

스피커, 모니터

 

시스템 버스(system bus)

컴퓨터내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

 

 

 

 

<프로그래밍 용어>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작성하는 행위

프로그램: 프로그래밍으로 작성된 결과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언어(이진법)과 사람의 언어를 매개해주는 언어

                          컴퓨터 언어에 가까울 수록 Low Level(Assembly) <-> 사람의 언어에 가까울 수록 High Level(Java,C++,,)

컴파일: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과정(빌드에 포함)

빌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파일로 만드는 것(exe, msi 등)

통합개발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코드를 작성하고 디버깅, 빌드 등을 모두 할 수 있는 개발 환경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클라이언트: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서버: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부분

2-Tier architecture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분리,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쳐'라고도 함

3-Tier architecture : 2티어 아키텍쳐 + 데이터베이스(데이터 보관)

자바 버전 확인

java -version

 

 

자바 버전 변경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1)

-v 뒤에 원하는 버전 입력

 

 

mac 잠자기 방지(컴퓨터에 카페인주기)

caffeinate

해제 : Ctrl + c

- 지속 시간 설정

caffeinate -t 원하는 시간 초단위 입력

- 디스플레이 꺼짐 방지

caffeinate -d 

 

사용중인 프로세서 확인

uname -p

 

 

 

 

 

1 ···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