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4)

 

 

메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ERD를 사용해서 DB를 설계할 때 PK로 id 칼럼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어서 외래키 2개를 묶어서 테이블의 PK로 사용하도록 하는 테이블이 몇가지 있었다.

보통의 테이블에선 PK로 id 칼럼을 만들지만 '다대다' 연관관계에 있는 테이블은 중간에 테이블을 생성해서 '1대다', '다대1' 로 나눠주어야 서로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데이터는 안들어가고 두 테이블의 PK만 가지고 있는 테이블이 생겼다.

메인 프로젝트(냥빌리지) ERD 일부

위와 같이 FK 2개만 가지고 테이블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두개의 FK를 테이블의 PK로 사용한다.

DB에 테이블 생성할 때는 테이블을 먼저 다 생성한 다음 PK 제약조건으로 'TagToBoard'의 'boardId'와 'boardTagId'를 PK로 만든 후 외래키 제약 조건을 걸어주면 설정이 완료 된다!

 

그런데 Spring에서는 Entity에 PK를 하나밖에 지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buid error가 발생한다.

해결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는데 'Spring 복합 PK' 라고 검색하면 자세한 글들이 많다.

그중에 우리팀은 @IdClass 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사실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한것 같다.

 

먼저 PK로 사용할 변수들에 @Id 애너테이션을 붙여준다. (2개 사용하므로 2개에 각각 붙여준다.)

먼저 Id를 묶어줄 Id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주로 TagToBoardId 이런식으로 ~Id 라고 지으면 나중에 보기 편하다!

그리고 Serializable을 구현한 구현체로 만들어 준다.

 

그리고 Id 클래스 위에 3가지 애너테이션을 꼭 추가해주어야 한다.

1. @Data

2. @NoArgsConstructor

3. @AllArgsConstructor

Id 클래스의 필드로 TagToBoard의 Id 필드 이름을 그대로 넣어준다.

이때 DB에 실제 저장되는 타입으로 넣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JPA 를 사용하기 때문에 클래스 객체로 참조하였지만 실제 PK에 값은 boardId와 boardTagId값인 Long타입으로 들어갈 거기 때문에 Long 으로 해야한다. 변수명은 동일하게 지어준다.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agToBoardId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Long board;
    private Long boardTag;
}

 

그리고 다시 TagToBoard 로 돌아와서 클래스 위에 @IdClass(TagToBoardId.class) 애너테이션을 추가해준다.

@Getter
@Entity(name = "TAG_TO_BOARD")
@NoArgsConstructor
@IdClass(TagToBoardId.class)
public class TagToBoard {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BOARD_ID")
    @JsonBackReference
    private Board board;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BOARD_TAG_ID")
    @JsonBackReference
    private BoardTag boardTag;
}

이렇게 묶어주면 오류 없이 복합 PK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repository를 JpaRepository를 extends 해서 사용할 경우 id에 보통은 Long 등 숫자 타입이 들어가는데 대신에 생성한 id 클래스명(TagToBoardId)을 작성해주면 된다!

public interface TagToBoard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TagToBoard, TagToBoardId> {
}

 

 

 

테이블명이나 칼럼명이 MariaDB 예약어에 등록되어 있으면 생성할 때 오류가 발생한다.

▷ MariaDB 예약어 목록

 

 

ddl auto를 사용하지 않고 DB에서 직접 테이블을 생성하다보면 제약조건이 꼬이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약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쿼리문이 있어서 같이 올려놓는다.

모든 제약조건 확인하는 쿼리

SELECT *
FROM information_schema.table_constraints;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 후 column 속성 변경  (0) 2022.09.06
[MySQL] 유용한 쿼리문  (2) 2022.09.03

 

 

 

▶️ 테이블 DROP

 

테이블 삭제 시 외래키 제약 조건이 걸려 있다면 그대로 삭제하려하면 외래키로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 먼저 삭제하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테이블 삭제 시 먼저 외래키 제약 조건을 확인할 필요가 없도록 설정을 바꿔줘야 한다.

SET FOREIGN_KEY_CHECKS = 0;

이제 테이블을 삭제해준다.

DROP TABLE [talbe명];

삭제할 테이블을 모두 삭제했다면 다시 외래키 제약 조건 확인을 기본값으로 돌려놓는다.

SET FOREIGN_KEY_CHECKS = 1;

 

 

 

▶️ Query 결과 예쁘게 출력하기

 

터미널같은 CLI 환경에서 쿼리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하면 칼럼이 여러개인 경우나 데이터가 길게 나오면 보기가 불편하다.

이럴때는 쿼리문 마지막에 세미콜론(;) 대신 \G 를 입력하면 쿼리 결과가 예쁘게 출력되서 보기 편하다!

SELECT * FROM [table명]\G

실행 결과

 

 

 

 

 

 

 

오개념, 오타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Schema

 

 

➤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가 구성되는 방식과 서로 다른 entities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

데이터베이스의 청사진과 같음

entities : 테이블 하나하나의 정보 단위

 

다른 테이블에서 참조할 때는 기본키로 참조할 수 있음

다른 테이블에서 테이블의 기본 키(primary key)를 참조할 때 해당 값을 외래 키(foreign key)라고 함

보통 기본 키는 ID값이다

 

 

 

➤ 데이터베이스 설계

 

구조화된 데이터는 하나의 테이블로 표현 가능

테이블 : relation

테이블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라고 함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키워드

 

data : 각 항목에 저장되는 값

table(또는 relation) : 사전에 정의된 열의 데이터 타입대로 작성된 데이터가 행으로 축적됨

column(또는 field) : 테이블의 한 열

record(또는 tuple) : 테이블의 한 행에 저장된 데이터

key :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값, 각 레코드마다 고유한 값을 가짐, 기본키와 외래키 등이 있음

 

 

❑ 테이블의 관계

 

각 테이블 사이엔 관계가 존재한다.

 

➤ 테이블 관계의 종류

 

1:1 (일대일의 관계)

1:N (일대다의 관계)

N:N (다대다의 관계)

다대다 관계는 테이블의 관계를 좌표처럼 만들어서 새로운 join table 을 만들면 쉽게 표현할 수 있다.

 

그 외에 테이블 스스로 관계를 가질 수도 있다. (self referencing 관계)

 

 

➤ 1:1 관계(One-to-one relationship)

 

하나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한 개와 연결된 경우

1:1 관계는 자주 사용하지 않음

-> 1:1 로 나타낼 수 있다면 테이블을 합쳐서 하나의 테이블로 보는 것이 낫다.

예시) 학생 테이블과 주소 테이블의 관계

 

 

➤ 1:N 관계

 

하나의 레코드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레코드와 연결된 경우

일대다 관계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함

예시) 직원 테이블과 부서 테이블의 관계

 

 

➤ N:N 관계

 

여러 개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여러 개의 레코드와 관계가 있는 경우

다대다 관계를 관리하기 위해서 join테이블을 만들어 관리함(기본 키 반드시 있어야함)

양방향에서 다수의 레코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1:N 관계와 다르다

예시) 고객 테이블과 병원 테이블의 관계

 

 

➤ 자기참조 관계(Self Referencing Relationship)

 

테이블 내에서도 관계가 필요할 때도 있음

예를 들어 추천인이 누구인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

한 명의 유저는 한 명의 추천인을 가질 수 있음

하지만 여러 명이 한 명의 유저를 추천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관계는 1:N 관계와 비슷하지만 1:N은 서로 다른 테이블의 관계를 나타낼 때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같은 테이블 내에서 참조하는 관계는 자기참조 관계라고 부른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오개념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학습 목표 >

  •  SQL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이해한다
  •  SQL 기본 query문을 사용할 줄 안다
  •  Schema의 설계 방법과 나은 방향성을 고안한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를 database에 저장하여 영속성 있게 저장할 수 있다.

 

 

❑ SQL

 

➤ SQL이란?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Query 언어)

 

▶️ Query란?

직역하면 질의문이란 뜻이다.

가장 친숙한 예시로 검색창에 적는 검색어가 있다.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필터하기 위한 질문이라고 볼 수 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에 query를 보내 원하는 데이터만을 뽑아올 수 있다.

 

 

➤ database가 왜 필요할까?

 

▶️ In-memory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는 런타임에만 존재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RAM에서 읽고 쓴다.

CPU와 바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는 사라진다.

굉장히 빠르지만 많은 양을 담지는 못한다.

실무에선 주로 고속 데이터베이스 조작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 File I/O

원하는 데이터만 가져올 수 없고 항상 모든 데이터를 가져온 뒤 서버에서 필터링 필요

파일이 커질수록 비효율적

 

 

▶️ database

필터링 외에도 File I/O로 구현이 힘든 관리를 위한 여러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에 특화된 서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하나의 CSV파일이나 엑셀 시트를 한개의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음

한번에 여러 개의 테이블을 가질 수 있어 데이터를 불러오기 수월함

 

 

 

➤ SQL

 

데이터베이스 언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SQL구문을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MySQL, Oracle, SQLite, PostgreSQL

SQ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구조가 고정되어 있어야 함

데이터의 구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NoSQL이라고 함

No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함

NoSQL의 대표적인 예로 MongoDB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를 날리면 작성한 조건에 맞는 데이터들을 필터해서 보여줌

 

 

➤ 기본 쿼리문

 

  • SELECT : 데이터를 불러온다
  • FROM  : 데이터를 불러올 곳(테이블)을 지정한다
  • WHERE : SELECT와 함께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정된 값을 불러오는 기능을 한다.(원하는 값만 가져올 때)
  • AND, OR, NOT : 주로 WHERE 처럼 조건이 들어가는 쿼리문에 같이 사용한다
  • DISTINCT : SELECT와 함께 사용되며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값만 불러오는 기능을 한다
  • ORDER BY :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한다(기본값은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작성하려면 DESC 속성값 부여하면 된다)
  • INSERT INTO (Statement) : 테이블 안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때 사용된다
  • UPDATE : 테이블 안의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된다
  • DELETE : 테이블 안의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된다
  • IS (NOT) NULL
  • COUNT : 데이터의 수를 세는 함수이다
  • AVG : 데이터의 평균 값을 구하는 함수이다
  • MIN / MAX : 데이터의 최솟값, 최댓값을 구하는 함수이다
  • LIKE : WHERE과 함께 쓰이는 조건 연산자이다 if와 같은 역할을 한다
  • Wildcard : 문자열에서 하나 이상의 문자를 대체하는데 사용된다
  • ALIASES : 별칭(별명)을 붙인다
  • JOINS : INNER JOIN, LEFT JOIN, RIGHT JOIN 이 있다
  • GROUP BY : 그룹을 지정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련 용어

  • CREATE DATABASE (database name);
  • CREATE TABLE (table name);
  • DROP DATABASE (database name);
  • DROP TABLE (table name);
  • BACKUP DATABASE (database name) TO DISK = 'filepath';
  • ALTER TABLE : 테이블에 column을 추가, 삭제, 변경할 때 사용
  • Not Null : column 생성시 null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제약 조건
  • UNIQUE : column의 모든 값이 다르도록 지정하는 제약 조건
  • PRIMARY KEY :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기본키로 지정하는 제약 조건
  • FOREIGN KEY : 외부 테이블의 레코드와 연결하는 제약 조건
  • DEFAULT : column의 기본값을 지정하는 제약 조건
  • AUTO_INCREMENT : 레코드가 생성될 때마다 자동으로 고유 번호가 생성되도록 함

 

 

 

❑ ACID

 

트랜젝션(Transaction)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행해지는 하나 이상의 쿼리를 모아 놓은 하나의 작업 단위

 

 

➤ ACID?

 

데이터베이스 트랜젝션이 발생할 때, 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성질

Atomicity : 원자성, 하나의 트랜젝션 내에서는 모든 연산이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하나의 연산이라도 실패하면 롤백시킨다)

Consistency : 일관성, 하나의 트랜젝션 전후에 데이터베이스의 일관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Isolation : 격리성, 각각의 트랜젝션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로의 연산을 확인받거나 영향을 줄 수 없다.

Durability : 지속성, 하나의 성공된 트랜젝션에 대한 로그가 기록되고 영구적으로 남는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언제나 ACID를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ACID를 지키면서 설계하는 건 금융 계열에서 일할 때 필요하다.

 

 

 

❑ SQL(구조화 쿼리 언어) vs NoSQL(비구조화 쿼리 언어)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SQL을 기반으로 하고 비관계형은 NoSQL로 데이터를 다룬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의 구조와 데이터 타입 등을 사전에 정의
  • 테이블에 정의된 내용에 알맞은 형태의 데이터만 삽입할 수 있음
  • 행(row) 와 열(column)으로 구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
  • 각 열은 하나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
  • 각 행은 열의 데이터 형식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
  • 데이터를 정확히 입력했다면 사용할 때 매우 수월함
  • 원하는 정보를 SQL을 활용해 쿼리할 수 있음 -> 스키마*가 뚜렷하게 보인다
  • 데이터를 입력할 때 스키마에 맞게 입력해야함
  • 테이블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MySQL, Oracle, SQLite, PostgreeSQL, MariaDB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킴
  • NoSQL이 스키마가 반드시 없는 것은 아님
  • 데이터를 읽어올 때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옴 -> ’schema on read’ 라고함
  • 읽어올 때에만 데이터 스키마가 사용됨
  • 데이터를 쓸 때 정해진 방식이 없는 것은 아님
  •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올 때 영향을 미침
  • 대표적인 NoSQL: 몽고DB, Casandra

 

 

➤ NoSQL의 구성

 

  • Key-Value 타입
  • 문서형(Document) 데이터베이스
  • Wide-Column 데이터베이스
  • Graph 데이터베이스

 

 

➤ SQL기반의 데이터베이스와 NoSQL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

 

▶️ 데이터 저장(Storage)

NoSQL: key-value, document, wide-column, graph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함

SQL: 테이블에 저장함, 미리 작성된 스키마를 기반으로 정해진 형식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해야함

 

▶️ 스키마(Schema)

SQL: 고정된 형식의 스키마가 필요함, 데이터 속성별로 열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정해두어야함, 스키마는 나중에 변경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수정하거나 오프라인(down-time)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NoSQL: 관계형보다 동적으로 스키마 관리할 수 있음, 행을 추가할 때 즉시 새로운 열을 추가할 수 있고 개별 속성에 대해서 모든 열에 대한 데이터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됨

 

▶️ 쿼리(Querying)

SQL: 테이블의 형식과 관계에 맞춰 데이터를 요청해야함, 구조화된 쿼리 언어를 사용함

NoSQL: 데이터 그룹 자체를 조회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 구조화 되지 않은 쿼리 언어로도 데이터 요청이 가능, UnQL(Unstructured Query Language)라고도 말함

 

▶️ 확장성(Scalability)

SQL: 수직적으로 데이터를 확장(높은 메모리, CPU를 사용하는 확장)

구축된 하드웨어의 성능을 많이 이용 -> 비용 많이 소모

여러 서버에 걸쳐서 데이터베이스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소모됨

NoSQL: 수평적으로 데이터 확장(보다 값싼 서버 증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하는 확장)

서버를 추가적으로 구축 -> 많은 트래픽을 보다 편리하게 처리

 

 

 

➤ SQL과 NoSQL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정답은 없다.

각각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쓰지만 관계형, 비관계형을 모두 사용하여 서비스에 맞게 설계할 수도 있다.

 

▶️ SQL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케이스

1. 데이터베이스의 ACID성질을 준수해야 하는 경우

금융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반드시 ACID를 준수해야 하므로 SQL을 사용

2.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구조적이고 일관적인 경우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많은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관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 NoSQL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케이스

1. 데이터 구조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2. 클라우드 컴퓨팅 및 저장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경우

3. 빠르게 서비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구조를 자주 업데이트 하는 경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오개념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1